Total 4

  [트래픽이란?]

 사전적 의미로는 "특정 시간에 도로상의 차량들, 교통량" 으로 정의됩니다.
또한 웹에서 사용하는 용어 역시 이 의미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.
거의 비슷하게 웹 서버에 그 의미가 적용됩니다
웹 상에서의 트래픽은 1일 데이터 전송량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트래픽 용량은 하루동안 서버컴퓨터에서 하루동안 전송할수 있는 데이터양입니다.

이를 조금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자면 핸드폰의 인터넷 접속을 생각하시면 됩니다.
3G도 마찬가지고 LTE도 마찬가지로 한 달에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있습니다.
핸드폰으로 인터넷 접속을 하면 데이터전송이 발생합니다.
또한 많은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록 데이터 전송량이 늘어납니다.
네이버 웹툰의 경우, 한 편을 볼 때 마다 꽤 많은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WIFI 연결 메시지가 뜹니다.
이렇게 데이터전송량이 소모가 되면서 제공된 데이터전송량을 모두 소모하면
그 이후로는 유료료 데이터전송이 됩니다. 그리고 한 달 후에는 데이터 전송량이 다시 초기화됩니다.

웹상에서 트래픽이 초과될경우에는 홈페이지에 접속이 안되고, 다음날 다시 접속이 가능합니다.
트래픽 용량을 늘리면 되는 문제이므로 홈페이지의 평균트래픽양을 확인후 적용하면 되겠습니다.  

  [호스팅이란?]

 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각종 웹페이지, 이미지, 파일 등을 보관할 수 있는
대용량 하드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.  

  [서버 / 클라이언트]

 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큰 컴퓨터로 이해하시고, 클리이언트는 큰 컴퓨터로 접근해
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컴퓨터를 말합니다.

예)스마트 폰으로 네이버 웹툰을 본다.

(서버는 네이버 웹툰이 저장된 공간이고. 클라이언트는 웹툰을 보는 사용자 스마트폰이 됩니다.)  

  [도메인이란?]

 도메인이란 인터넷상의 주소로, 웹 서버나 메일서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
영문자 숫자 및 하이픈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주소를 의미합니다.
도메인은 서퍼들에게 101.85.201.203 과 같은 숫자로 된 IP주소대신에 더 알기 쉬운
abyss.com과 같은 문자로 된 주소를 의미합니다.

일반적으로 주소뒤 co.kr/ kr / net / com등을 사용합니다.